• 탄소성 균질화 코드 완성

    • AR 적용 테스트?

      Untitled 14.png

  • 점소성 적용

    • dynamic yield function
    • 코드 검증 결과

    Untitled 1 4.png

    Untitled 2 3.png

    Untitled 3 3.png

  • 점소성+균질화 코드

  • DP 모델 적용

    • J2와의 차이
    • MANDEL NOTATION 관련, 정정사항
      • Einstein notation 관련?
      • dot product, determinant 관련
    • ABAQUS에서 DP 모델 파라미터 정리
  • DP 검증

    • 점소성 단독

230219 WR

  • EVP COMPOSITE V1. 검증
  • EVP 균질화와 EP 균질화를 같은 소성으로 테스트했을 땐 같은 결과 —> 균질화엔 문제 없다.

Untitled 4 3.png

Untitled 5 3.png

  • DIGIMAT, ABAQUS 지원 물성 정리

    • DIGIMAT은 점소성이 개입되면 DP 사용 불가
      • 탄소성은 DP 사용 가능하나 generallized
      • 균질화와 같이 확인이 가능함
    • ABAQUS는 점소성이 우리가 쓰는 형식과는 다름
      • 탄소성에서 Extended DP 사용 가능하지만 균질화 사용 불가능
  • DVPDS 검증

    • MATRIX만 있는 경우 테스트

    Untitled 6 3.png

  • 점탄성에 균질화가 개입되면 안맞기 시작함.

    • 탄소성 균질화 OK
    • 점소성 단독 OK
    • AR=1일때도 안맞는거 보면 DDSDDE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 EVP composite V2,3 검증

    • 논문 서치 결과

    • ABAQUS 활용한 검증

      • Biaxial compression
    • ALPHA, BETA 0으로 두고 테스트한 결과 셋 다 결과 동일

정리

  • j2 점소성 테스트 결과 논문 검색 필요 → j2에 NORTON 은 찾을 수 없었음

    • ddsdde 오류 가능성
    • abaqus에서 Norton law를 사용한 점소성은 테스트가 불가능했고, digimat이 최선
    • DP로 넘어감
  • DP 의 경우 ABAQUS, DIGIMAT에서 제한적으로 테스트가 가능했음

    • ABAQUS 내에서의 파라미터 설명
    • ABAQUS 비교 결과 (균질화는 배제)
  • 논문의 경우 탄점소성 Generallized DP, 점탄점소성 extended DP 논문 찾음

    • NON associated flow rule 사용되어 코드 수정 (ver3)
      • 수정 내용 정리

      • 탄점소성 논문으로 비교하려 했으나 strain rate 누락으로 비교가 불가능했음

      • 우선 abaqus로 테스트( 점소성 배제됨)

      • 테스트 결과

TODO

  1. Drucker Prager 안 맞는 부분 parameter 다시 확인
  2. DP 탄소성에 맞게 1.5 버전
  3. Miled 학위 논문에서 EVPT 케이스 찾아서 검증?
  4. 현우형 코드 보고 T stress 안 맞는 부분 원인 파악
    1. 원인은 DSTRAN 분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 matrix strain이 음수로 찍힘)
    2. 균질화 식 보고 공부. 식 전개해보면 확인 가능할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