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음. 이 부분 어떻게 보여줄지?
연구 목표를 명확히. 나열식으로
- 연구 분야, 개념 소개
- 연구 필요성
- challenge
- literature review
- 연구 목표
- 재료 및 방법 선정, 전략
- 현재 연구 상황
-
제작법
-
물성평가
-
discussion으로 물성 약화 요인을 근거를 잘 들어서 설명해야함.
morphology 확인
step별 확인
우선, 기존 선행연구, 레퍼런스 논문 데이터를 활용해서 데이터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해야함.
이후 원인에 대한 분석
→ morphology 확인 먼저. CNT가 자란 상태에서는 라만, xrd 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엔 어려움. SEM을 통해 먼저 시각적 분석을 진행, CNT의 성장 자체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함.
sem 에서 직접적인 근거를 찾기 어려웠음. 성장까지 여러 STEP을 거치기 떄문에, 어떤 스텝에서 물성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해봄. → 고온 공정에서 주로 물성 저하가 일어남을 확인함. 특히 desizing 공정에서(레퍼런스) 물성 저하가 나타남을 확인함. oxidative atmosphere에서의 물성 변화임. 퍼니스 확인해본 결과 크랙 확인.
공정 개선 후 재 실험중에 있다.
이후 further works로는 우선 고강도 섬유 완성, 이후로는 process의 최적화/ 더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하는 방법 등으로 발전. 혹은 재현성 향상에 대한 내용, optimization에 대한 내용
이후 내용에 대한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내용 구성 순서를 바꿔야 할듯
raw fiber 분석에 대한 내용을 먼저 넣고, 그 후 CVD 공정 및 tensile test 결과 내용
WAXD에 대한 내용 추가
weekly report sody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