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EPS값이 음수가 발생하는가?

→ 계산 과정을 살펴보면 DDSDDE 계산할 때 EPS가 들어가게됨

EPS값이 음수가 나오던가 하는 방식은 없어야 함.

ANN 출력물을 그대로 쓰면 안될 것 같다.

f값에 딱 맞지 않는 결과가 나온건?

데이터 질이 안좋거나 학습이 잘 안됐거나

hybrid 방식으로 eps값이 작아지는 경우에 return mapping을 사용하는 방식

ann 구성 시 monotonic 하게 출력물을 만들 수 있을까?

physics가 반영된 ANN

unloading case도 고려해야한다.

지난 세미나

  • dataset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for 2D case

  • 3D VEVPT dataset strategy (reduced input parameters)

세미나 다룰 내용

  • ANN training
    • 구조 설명
  • ANN verification
    • test dataset으로 검증
    • 재료 시스템 변경 시
    • nonlinear loading 시
    • MATLAB을 활용한 시간 단축 확인
      • UMAT으로의 테스트 필요성
  • UMAT construction
    • 매트랩 리턴 매핑 부분을 언어 변환
    • 여기에 인공신경망 행렬 계산 부분 삽입
    • 주응력 변환, DDSDDE 추가
    • DDSDDE 공부내용?
    • DDSDDE의 역할
  • UMAT test
    • 테스트 조건
      • 오류 발생
    • 별도 fortran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아바쿠스에서 주는 인풋 추출해 테스트
      • 디버깅 하려면 이렇게 해야함
      • 아바쿠스 인풋으로 계산될 때 trial stress가 학습 범위 벗어남 확인
      • 같은 trial stress를 사용했을 때 매트랩과는 결과가 일치
    • DDSDDE에서의 문제
      • 기존 return mapping의 경우 EPS값이 감소하는 경우는 없음
    • 더 자세히 파악 위해 1 element case에서 돌려봄
      • 결과는 나오는데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가 발생
      • 학습 범위를 벗어나 생기는 문제로 파악
    • 3 element case에서 확인
      • 특정 element에서 값이 튀는 현상 발생
    •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