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명

영문명 수정 —> Mechanical behavior prediction of injection-molded short fiber-reinforced plastic considering fiber orientation

연구개발 제안 요약서

  1. 이거 아주 잘썼다야

연구개발 추진 필요성

나. 연구의 개요

1번 —> 본 연구에서는 단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정적 및 동적 하중에 따른 물성 예측 방법을 개발하고자 함

3번 —> 단섬유강화 플라스틱의 물성 예측에 필요한 해석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도입하여 인공신경망 기반의 해석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1번에 파괴거동 관련 내용

다. 연구 기술의 당면과제 및 애로기술

1번 —> 문장이 읽기 어려움 (플라스틱이 거동 예측이 어렵다는 말은 비문임) 수정안 : ~플라스틱은 ~동안의 거동이 복잡하고 단섬유의 부피분율 및 작동환경에 따라 그 거동이 다양하므로 예측이 어려움

여기에 추가적으로, 전년도 개발된 프로그램은 피로와 크립, 그리고 그 둘이 합쳐진 환경 하에서 거동을 예측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지만 이번에는 가장 중요한 정적 및 동적(용어 체크해볼 것) 거동에 대한 예측을 하고자 한다는 내용으로 쓸 것.

부품단위 해석을 목표로 해서, 이를 위한 정적 및 동적 해석과 speed up으로 엮어도 좋다는 것 같음.

라. 국내외 연구동향

3. 본 연구 개발 과제와 기존 기술과의 차이점

기존 연구사례 첫번째 항목은 정적 동적 조건 하에서 파괴 거동에 대한 정밀한 예측 및 검증이 필요함(추가적으로 제거)으로 수정

본연구 특징은 첫번째 항목을 유사결정립 하에서 정적 동적에 대한 파괴거동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유맷 개발 —> 시편이 아닌 부품 단위에서의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겠다 의 느낌으로 수정

3. 연구 내용 및 평가 방법

목표

  1. 앞서 말한대로 정적 동적 파괴거동을 고려해서 부품단위에서의 예측 내용으로 수정

주요 연구내용

첫번째 block 수정 필요

UMAT 유효성 검증이 아니라 정적 동적 조건 하에서 파괴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UMAT 개발로 수정

- 당해년도 상세 연구 내용

1번 항목 전반적으로 검증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UMAT 개발로 들어가야 함. UMAT 모델을 만들어서 어떤 정적 동적 거동에서도 failure가 일어날 때 까지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후 검증은 시편 검증이 아니라 부품단위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함. UMAT이 지금 없다는 가정 하에서 쓸 것. Tsai-Wu도 검증이 아니라, 어떤 것이 맞는지 모르기 때문에 short fiber composite에 대해 파괴 거동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UMAT을 만드는 것. criterion은 어떤 걸 쓸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님. 따라서 개발한다는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

2번 항목의 파괴 모델 구축에 대한 내용이 먼저나와야함.

섬유 배향이 고려가 된 UMAT 모델 만들어진 후 현재 쓴 1번 내용은 만들어진 UMAT을 가지고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적용해보는 식으로 해서 뒷 순서인 2번으로 가야함.

나. 최종 결과물 평가항목 및 방법

파괴에 대한 내용으로 관련 평가항목도 수정

“재료”를 단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모두 수정

업무체계 및 업무 분장

폰트 수정

기타 수정사항

1번항목과 2번항목에서 Tsai-Wu “criterion”과 “기준” 통일 필요

페이지 넘버 추가

1-1 오타 수정 포크트 모델 스펠링 Voight—>Voig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