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드 현황
    1. shear, biaxial 등에서 잘 맞음.
  2. DSTRAN 계산
    1. consistent tangent stiffness 계산 후 활용
    2. 계산 필요없이 random strain set을 구축해 활용
      1. 이게 가능할지는 input에 대해 고민해봐야 할 것 같음.
  3. 열적 효과 반영
  4. input 값 고려
    1. trial stress를 input, corrected stress 가 output
    2. Temperature
      1. temperature에 의해 hardening coefficient(exponential), yield stress, vedtime, vpdtime 변형됨
        1. 기존 염두에 두고 있는 input인 plastic effective strain의 경우 hardening coefficient 변화는 반영하지 못함.
        2. VEDTIME은 Trial stress 계산에 사용됨
        3. VPDTIME은 theta값, DEL_DVPDS, DTHDVP에 영향을 줌
          1. thetavp는 X값에 영향
      2. output strain을 결정할 yield function의 경우
        1. input stress가 변할 때 Invariants가 변하게 되고,
  5. dataset 구축 시의 고려사항
    1. principal stress로의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