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의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용화를 위해선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전력 공급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반도체성 열전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특유의 유연성과 열전 성능을 활용할 수 있어 체온을 통한 자가발전의 형태로 전력 공급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열전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고집적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고성능 및 고집적화 반도체성 텍스타일 디바이스는 센서 및 전자소자 개발로도 활용성의 확장이 가능하다. 그동안 반도체성 섬유를 활용한 웨어러블 가스 센서, 메모리 소자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반도체성 섬유의 고집적화 구조의 구현은 이러한 분야에서도 접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류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바이스 제작이 가능하며

고성능의 열전 텍스타일 구조체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자가 발전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여 스마트 의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반도체성 열전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특유의 유연성을 활용해 의류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바이스 제작이 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을 위해선 스마트 의류에 적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탄소나노튜브 섬유의 열전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고집적화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