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간 보고서 관련
- 길이 분포 관련 내용
- 코드 수정사항 + database용 코드 작성 첨부
- 복합재의 확률기반 물성 계산
(probablistic analysis, stochastic homogenization)
- 어떤 이론인지?
- 우리꺼에 적용이 필요할지
- 월요일 비탄성 끝나고 내용 같이 보고 정리
논의할 사항
- CT 데이터 활용해서 대표길이 선정 후 해석해보는 것
- CT 데이터 자체가 21년도 자료라서 현재 재료에서 사용하기 어려움.
- 현재 PA6-GF40에 대한 CT 데이터는 raw data만 확보 중 →처리가 필요
1.
- 확률을 고려한 길이분포 반영
- 우리가 조사한 모델은 섬유 파괴 확률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는 특정 영역에서의 길이 분포를 얻는 모델임. 섬유 길이 자체가 확률 분포를 갖는 것이 아님.
- 그러나 만약 이 길이분포를 ‘확률분포’로 생각한다면?
→ 각 element마다 고유의 ‘확률 분포’를 가질 때, 각 element에서 12개의 유사결정립에서 확률 분포 내에서 확률에 의해 고유의 aspect ratio를 가질 수 있음.
이를 이용해서 해석을 진행함.
- 그럼 orientation 자체도 길이 분포의 영향을 받게 되는가?
→이건 아닌거 같음.
- 이렇게 하게 될 경우 element마다 너무 차이가 커질 가능성은?
- 길이가 다를 때 나타날 수 있는 interaction을 무시하게 될 수 있음.